책을 읽으면 삶이 바뀐다, 트레바리 책으로 맺어진 인연을 아시나요?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수천 년 전부터 철학자들의 화두였습니다. ...

같이의 가치
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해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? 아마 지금 주위에 보이는 사람들, 그들이 전부라고 느껴지실지 모르겠습니다.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걸 다들 알고 있죠. 매일 마주하진 않지만 어딘가에서 같이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 그들 중엔 사회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도 있습니다. 어떤 브랜드들은 그들의 자립을 지원하면서 우리가 그들과 함께 살아가야 함을 일깨워줍니다.
동구밭 ;
비누를 만드는 진짜 이유
친환경 비누를 만드는 동구밭은 처음에 텃밭에서 시작했습니다. 발달장애인들의 사회성을 길러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죠. 텃밭에서 비장애인과 함께 일을 하다보면 사회성을 키울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. 참여한 장애인들의 만족도는 높았습니다. 하지만 사회의 벽은 높았죠. 아무리 추천을 해도 채용을 하겠다는 곳을 찾기 어려웠습니다. 당시 대학생이었던 노순호 대표는 발달장애인들이 오래 일할 수 있는 직장을 만들기 위해 비누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.
소이프 ;
디자인으로 보호종료아동 자립 지원
보호종료아동에 대해 들어보셨나요? 요즘은 자립준비청년이란 표현을 쓰는데요, 만 18살이 돼 시설을 나가야 하는 아이들을 지칭하는 말입니다. 아직 가정의 울타리가 필요한 나이지만, 아이들은 나이가 차면 홀로 사회에 나가야 합니다. 정부의 지원이 있긴 하지만 턱없이 부족하죠.
소이프는 아이들이 꿈을 갖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기구독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디자인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제품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도록 장을 만들어주고, 보호종료아동들이 정서적으로 외롭지 않도록 ‘허들링 커뮤니티’를 운영합니다.
고요한택시 ;
도심 속을 고요하게 달리는 택시의 최종 목적지는?
길을 지나다 ‘고요한M’이라고 적힌 택시를 보신 분들 있을 겁니다. 겉모습은 다른 택시와 다를 게 없지만 타보면 차이를 알게 됩니다. 뒷자리에 타면 “안녕하세요. 목적지를 입력해주세요”라는 기계음이 들립니다. 조수석 헤드레스트엔 태블릿PC가 부착돼있고요. 이후엔 목적지까지 편하게 가면 됩니다.
여기에 한 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. 당신이 청각장애인 기사님을 만났을 수도 있단 점이죠. 고요한택시 기사님 중엔 장애를 가지신 분들이 계시니까요.
베어베터 ;
발달장애인 고용이 회사 운영 1순위
‘발달장애인이 어떻게 일을 하겠어’란 생각은 편견일지 모릅니다. 물론 조금 느릴 순 있습니다. 하지만 그들의 특성에 조금만 관심을 갖고 방식을 조금만 바꾸면 발달장애인들도 주어진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. 베어베어는 일 년에 두번 공채로 직원을 선발해 그들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을 맡깁니다. 그리고 그들이 가장 잘 일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.
발달장애인을 배려받아야 하는 존재보다는 성실한 사회 구성원으로 대우하는 일터는 어떤 모습일까요?
다른 이야기도 있어요!
이멤버! 리멤버! 오랜만에 연락한 친구에게 그간 잘 지냈는지 묻고는 합니다. ‘잘 지냈다’는 답이 돌아오면 만나지 못한 시간의 길이와 무관하게 안도감이 ...
압도적 경험, 포지티브 스페이스 566 출처 : 바이브랜드 김포와 인천의 경계선에서 금빛 오라(Aura)를 내뿜는 이곳. 광활한 공간에서 펼쳐지는 고상한 향연 ...
풍요로운 설 엔터테인먼트 설날은 정월 초하루, 음력 1월 1일입니다. 흔히 ‘구정(舊正)’이라고 부르죠. 여기엔 조금 슬픈 이야기가 있습니다. 메이지 유신 이후 ...